나는 小學校 시절 아버지의 使喚(an attendant) 겸 秘書 역할을 擔當했다
계기는 매일 日記을 쓰고 歸校 후 아버지께 검사를 받았다 그당시는 日帝 시대라 내용은 다 日本語로 기록했다 아버지는 添削을 하시며 동구라미를 세 개식 해 주셨다 매일의 일과라 문장력이 날로 向上되어 전교 글짓기 대회에서 受賞을 하고 담임선생 하뉴다토시꼬<羽生田淑子>선생은 등사판에 내 글을 등사하여 학급 전체애 配布하고 칭찬을 했다 그로부터 歸校 후 매일 아버지의 서재에가서 공부도 하고 아버지 심부름도 했다 주로 책장에서 서책 출납하는 일과 우체통에 가서 당일의 편지를 持參하여 내가 개봉하고 읽어드리는 일이다 편지의 내용은 國漢文 混用으로 難澁한 글귀가 많았다 아버지는 그기에 표현된 四書三經 ~글귀중 ~漢子熟語 故事成語가 있으면 주로 明心寶鑑 / 中庸 / 論語 / 古文眞寶/ 등등 ..孔子/韓非子/ 老子 등 典故와 逸話를 귀절마다 쉽고 재미있게 敷衍(expatation) 설명 해 주셨다 그 중에서도 평소에 자주 교훈하신 四字小學 ~형제간 우애의 말씀이다 그런데 나의 七男妹 중 막내가 平素 아주 健康했는데 突然 肺癌의 判定를 받았다 동생의 병의 고통을 생각하면 얼마나 가슴이 답답하고 아픈지 말로 표현 할 수가 없다 그런데 동생은 형제들의 심려를 알고 일부로 태연한 자세로 말없이 병을 이겨내고 있다 참 장한 일이다 걱정하고 낙심하여 戰戰兢兢 할줄 알았는데 긍정적인 超然한 자세로 모든 것을 하나님께 의지하여 "하늘이 내몸을 수고롭게 한다면 나의 마음을 편하게하여 나의 길을 형통케 하소서" <天勞我以形吾逸吾心以補之....>하는 태도다 어떻든 "형제란 나와 더불어 부모를 같이 하는 자<與我同父母者委兄弟>가 형제이고" " 같은 뿌리에서 이어진 가지로 수족과 같고 <同根然枝.如 手足>" "한줄기의 물에서 여러 지류로 흐러고 합하는 것과 같으니 <同源異流> <異流合流> " <그러므로 "형은 아우를 사랑하고 아우는 형을 공경하여 <兄愛而弟敬>" "형제의정은 우애로워야 할 뿐이다 <兄弟之情友愛而己>" 그러니 ~조속한 동생의 疾病의 治癒을 위하여 우리 형제는 서로 돕고 함께 懇切히 기도해야 한다
형제간의 도리를 자세하게 적은 글 중 金科玉條와 같은 龜鑑(a model)이 되는 귀중한 箴言(a maxim)을 四字小學 에서 전재한다
사자소학(四字小學) - 형제편(兄弟篇)
兄弟姉妹(형제자매)는 : 형제와 자매는 同氣而生(동기이생)이니 : 한 기운을 받고 태어났으니 兄友弟恭(형우제공)하야 : 형은 우애하고 아우는 공손히 하여 不敢怨怒(불감원노)니라 : 감히 원망하거나 성내지 말아야 한다. 骨肉雖分(골육수분)이나 : 뼈와 살은 비록 나누어 졌으나 本生一氣(본생일기)요 : 본래 한 기운에서 태어났으며, 形體雖異(형체수이)나 : 몸의 모양새는 비록 다르나 素受一血(소수일혈)이니라 : 본래 한 핏줄을 받았느니라. 比之於木(비지어목)하면 : 나무에 비유하면 同根異枝(동근이지)며 : 뿌리는 같고 가지는 다른 것과 같고, 比之於水(비지어수)하면 : 물에 비유하면 同源異流(동원이류)니라 : 근원은 같고 흐름은 다른 것과 같다. 兄弟怡怡(형제이이)하야 : 형제는 서로 화합하여 行則雁行(행즉안행)하라 : 길을 갈 때는 기러기 떼처럼 나란히 가라. 寢則連衾(침즉연금)하고 : 잠잘 때에는 이불을 나란히 덮고 食則同牀(식즉동상)하라 : 밥 먹을 때에는 밥상을 함께 하라. 分毋求多(분모구다)하며 : 나눌 때에 많기를 구하지 말며 有無相通(유무상통)하라 : 있고 없는 것을 서로 통하라. 私其衣食(사기의식)이면 : 형제간에 자기들의 의복과 음식을 사사로이하면 夷狄之徒(이적지도)니라 : 오랑캐의 무리이다. 兄無衣服(형무의복)이어든: 형이 의복이 없거든 弟必獻之(제필헌지)하고 : 아우가 반드시 드리고, 弟無飮食(제무음식)이어든: 아우가 음식이 없거든 兄必與之(형필여지)하라 : 형이 반드시 주어라. 一杯之水(일배지수)라도 : 한 잔의 물이라도 必分而飮(필분이음)하고 : 반드시 나누어 마시고 一粒之食(일립지식)이라도: 한 알의 음식이라도 必分而食(필분이식)하라 : 반드시 나누어 먹어라. 兄雖責我(형수책아)나 : 형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莫敢抗怒(막감항노)하고 : 감히 항거하고 성내지 말고. 弟雖有過(제수유과)나 : 아우가 비록 잘못이 있더라도 須勿聲責(수물성책)하라 : 모름지기 큰소리로 꾸짖지 말라. 兄弟有善(형제유선)이어든: 형제간에 잘한 일이 있으면 必譽于外(필예우외)하고 : 반드시 밖으로 칭찬하고, 兄弟有失(형제유실)이어든: 형제간에 잘못이 있으면 隱而勿揚(은이물양)하라 : 숨겨 주고 드러내지 말라. 我有歡樂(아유환락)이면 :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兄弟亦樂(형제역락)하고 : 형제들도 즐거워하고, 我有憂患(아유우환)이면 : 나에게 근심과 걱정이 있으면 兄弟亦憂(형제역우)니라 : 형제들도 근심하느니라. 雖有他親(수유타친)이나 : 비록 다른 친척이 있으나 豈若兄弟(개약형제)리오 : 어찌 형제간과 같겠는가. 兄弟和睦(형제화목)이면 : 형제가 화목하면 父母喜之(부모희지)시니라: 부모님께서 기뻐하시느니라. *(향상일로에서) |
![](https://blog.kakaocdn.net/dn/bhX5f4/btrvNSqDHHi/jaSHTNLYkLumLB7csvlbH0/img.gif)
**참조 (2)
兄弟篇(형제편) 兄弟和睦(형제화목): 형과 아우가 화목하면 父母喜之(부모희지): 부모께서 그것을 기뻐하시니라 兄生我前(형생아전): 형은 나의 앞에 낳은 것이고 弟生我後(제생아후): 동생은 나의 뒤에 낳은 것이니라 骨肉雖分(골육수분): 비록 뼈와 고기가 서로 나누어졌으나 本生一氣(본생일기): 본래 한 기운에서 낳았고 形體雖各(형체수각): 비록 형체는 각각이나 素受一血(소수일혈): 부모로부터 한 피를 받았으니 比之於木(비지어목): 그것을 나무에 비유하면 同根異枝(동근이지): 뿌리는 같으나 가지는 다르고 比之於水(비지어수): 그것을 물에 비유하면 同源異流(동원이류): 근원은 같으나 흐름은 다르다 爲兄爲弟(위형위제): 형 되고 동생된 자는 何忍不和(하인불화): 어찌 화목하지 않으리 敬兄如親(경형여친): 형을 존경하기를 어버이와 같이하고 愛弟如友(애제여우): 동생을 사랑하기를 벗과 같이하느니라 兄雖責我(형수책아): 비록 형이 나를 꾸짖더라도 不敢怨怒(불감원노): 원망하거나 성내지 아니하고 弟雖有過(제수유과): 비록 아우에게 허물이 있더라도 須勿聲責(수물성책): 소리 내어 꾸짖지 말라 一粒之食(일립지사): 한 톨의 밥이라도 必分而食(필분이식): 반드시 나누어 먹고 一盃之水(일배지수): 한 잔의 물이라도 必分而飮(필분이음): 반드시 나누어 마시느니라 兄無衣服(형무의복): 형이 의복이 없으면 弟必獻之(제필헌지): 동생은 반드시 그것을 드리고 弟無衣服(제무의복): 동생이 의복이 없으면 兄必與之(형필여지): 형을 반드시 그것을 주고 私其飮食(사기음식): 그 음식을 사사로이 하면 禽獸之類(금수지류): 짐승의 무리요 私其衣服(사기의복): 그 옷을 사사로이 하면 夷狄之徒(이적지도): 오랑캐의 무리니라 我打兄弟(아타형제): 내가 형제를 때리면 猶打父母(유타부모): 부모를 때리는 것과 같고 我欺兄弟(아기형제): 내가 형제를 속이면 如欺父母(여기부모): 부모를 속이는 것과 같으니라 兄有過失(형유과실): 형에게 과실이 있거든 和氣以諫(화기이간): 온화한 기운으로써 간하고 弟有過失(제유과실): 동생에게 과실이 있거든 怡聲以訓(이성이훈): 좋은 말로 가르치니라 兄弟有善(형제유선): 형제에게 좋은 점이 있거든 必譽于外(필예우외): 반드시 바깥에 칭찬하고 兄弟有惡(형제유악): 형제에게 나쁜 점이 있거든 隱而勿現(은이물현): 숨기고 나타내지 말라 我身能孝(아신능효): 내 몸이 능히 효도를 하면 兄弟亦效(형제역효): 형제 또한 본받고 我身不孝(아신불효): 내 몸이 효도하지 아니하면 兄弟亦則(형제역칙): 형제 또한 본받느니라 兄出晩來(형출만래): 형이 나가서 늦게 들어오면 倚門逘之(의문사지): 문에 기대어 그를 기다리고 弟出不還(제출불환): 동생이 나가서 돌아오지 아니하면 登高望之(등고망지): 높은 곳에 올라 그를 바라볼지니 兄能如此(형능여차): 형이 능히 이와 같이하면 弟亦效之(제역효지): 동생 또한 그것을 본받느니라 我有歡樂(아유환락):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兄弟亦樂(형제역락): 형제 또한 즐겁고 我有憂患(아유우환): 나에게 근심과 걱정이 있으면 兄弟亦憂(형제역우): 형제 또한 근심할 것이니 雖有良朋(수유량붕): 비록 좋은 친구들이 있으나 不及如此(불급여차): 이와 같음에는 미치지 못하느니라 敬我兄後(경아형후): 나의 형을 공경한 후에 敬人之兄(경인지형): 다른 사람의 형을 공경하고 愛我弟後(애아제후): 나의 동생을 사랑한 후에 愛人之弟(애인지제): 다른 사람의 동생을 사랑할지니라 我敬人兄(아경인형): 내가 다른 사람의 형을 공경하면 人敬我兄(인경아형): 다른 사람도 나의 형을 공경하고 我愛人弟(아애인제): 내가 다른 사람의 동생을 사랑하면 人愛我弟(인애아제): 다른 사람도 나의 동생을 사랑할 것이니 兄弟之道(형제지도): 형제의 도리는 友愛而已(우애이이): 우애일 뿐이니라 |
'隨想의 窓<隨筆>'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落書 ( 26 ) (0) | 2022.03.18 |
---|---|
**哭者( 17 ) (0) | 2022.03.15 |
**落書 (24) (0) | 2022.03.04 |
**落書 ( 23 ) (0) | 2022.02.28 |
**落書 ( 22 )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