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落書(38)
나무는 고요하고자 하나 바람이 멈추지 않고 자식은 봉양
하려 하나 부모는 기다리지 아니 합니다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철이 들고 부모님의 사랑과 은혜를 생각하고 정성을 다하
여 모시고 싶을 때는 이미 부모님은 돌아가시고 이 세상
에 계시지를 아니합니다 후회를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후회 가운데 가장 큰 후회가 부모님 생전에 다하지 못한
효도입니다 <不孝父母 死後悔>
옛날 古典에 孝자가 처음 실린 곳은 書經의 요전<堯典>이고 <孝>
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孝經의 “사람의 신체와 모발과 피부는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감히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요 몸을 세워
도를 행하여서 후세에 이름을 더날려 부모를 드러내 드리는 것이 효도의 마
침이라고 했습니다 “< “身體髮膚, 受之父母, 不敢毁傷, 孝之始也 . 立身行
道, 揚名於後世, 以顯父母, 孝之終也“ ><孝>는 左傳에 孝는 禮의시작이라고 말
하고 <“禮之始也”> 論語에서는 효도하고 서로 공경하는 것이 바로 仁 을 행
하는 근본이라고 했습니다,
< “孝悌也者 ,其爲仁之本輿”, 童蒙先習에 <“孝爲百行之源”>
孝經애서는 무릇 효는 덕의 근본이라고도 했습니
다<“夫孝德之本也” >
어떻든 효도는 온갖 행실의 근원이니 살아있는 부모를 봉양하는 일과 死後
초상을 치루고 장사를 지내는 일을 다해야 孝라고 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孝爲百行之源也, 人得養生喪葬之宣, 以盡事親之道, 然後可謂孝矣, >
일언이폐지(一言以蔽之)하고 부모의 자식사랑은 이를태면
~불면 날아갈까 ? 잡으면 꺼질까 ? <吹之恐飛執之恐陷>두려워
하며 愛之重之, 지독지애 <砥犢之愛>로(늙은 소가 송아지를 활
타 사랑하듯 ) 안고 업고 어루고 웃기고 배 곺을 세라 ~잠이 깨
면 바로 젖 먹이고 고운 옷 입히고, 추조거습<推燥居濕>(추을
때 아이는 따뜻한 자리에 밀고 자기는 찬 자리에 앉는다)는 心
情으로 자식을 사랑으로 양육한다
그 큰 恩惠에 보답해야 합니다
이 시는 고려 시대 문충<文忠>의 著作으로 어머니의 늙은 것을
한탄하여 長壽하기를 바라는 가사입니다
곡의 이름은 <五冠山曲>,<木鷄歌>,<唐鷄曲>으로 불림니다
**더디 늙으시길**
나무토막 조각해 작은 당닭 만들어
젓가락으로 집어서 벽 위에 올려두네
이 닭이 꼬끼오 시간 맞춰 울면
그제야 어머니 지는 해처럼
늙으시기를
木頭雕作小唐鷄(목두조작소당계)
筯子拈來壁上棲(저자염래벽상서)
此鳥膠膠報時節(차조교교보시절)
慈顏始似日平西(자안시사일평서)
- 이제현(李齊賢, 1287~1367), 『익재난고』 권4 「소악부(小樂府)」** ,<漢譯>
'隨想의 窓<隨筆>'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落書 (40) (0) | 2022.05.17 |
---|---|
**落書 (39) (0) | 2022.05.10 |
**落書 ( 37 ) (0) | 2022.05.04 |
**落書 ( 36 ) (0) | 2022.04.26 |
**落書 ( 35 ) (0) | 2022.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