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一千分 중 一秒의 지혜 ]
독수리 ( 4 )
~ 어느 독수리의 淸高瓢逸한 독백
사람들은 나를 하늘의 제왕이라고 말합니다 하늘에 사는 모든 우족[羽族]들을 꼼짝 못하게 다스리기 때문입니다 사나운 용모와 신성 불가침의 위엄과 지칠줄 모르는 강력한 힘으로 왕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성경에서도 나를 왕으로 상징 했습니다 나는 지금 높은 하늘을 비상[飛翔]하여 하계를 부감[俯瞰]합니다 중국의 손자 병법에 나오는 상대방의 판단을 흐리게하는 만천과해[瞞天過海]의 병법입니다 푸른 하늘을 유유히 선회하며 사냥감을 찾는 것입니다 하늘 높이 울라 가는 것도 상대방으로 부터 나를 숨기기 위한 것입니다 먹이감을 잘 포확하기 위하여는 상대편이 나를 알아보지 못하게 위장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나의 시력을 검안하여 0.5 이상이라고 했습니다 고공에서 대충 overlooking...만 해도 먹이감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나는 산이나 들이나 바다에서 ~ 사냥감이 발견이 되면 이번에는 성동격서[聲東擊西]의 병법을 사용합니다 동에서 소리 질러 서로 몰아 가는 것입니다 사냥하기 쉬운 곳으로 drive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먹이감을 놓치지 않게 주의를 집중합니다 위치를 추적하며 한 순간도 딴눈을 팔지 않습니다 긴장의 연속입니다 그리고는 서서히 하강하며 힘찬 날개짓으로 잡아챌 사냥감을 타초경사[打草驚蛇]의 손자[孫子]병법으로 기[氣]를 죽이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놀라게하여 혼을 빼는 것입니다 도저히 항거할 수 없도록 겁을 주는 것입니다 우선 한 마리를 쫓아 날카로운 발톱으로 활키고 예리한 부리로 쪼는 것입니다 이때 먹아감들은 대오를 이탈하여 [좌충우돌 ]하며 [지리멸렬]하여 [大驚] [失色] [氣盡] [失身] 상태] ~ 가 되여 절벽에서 떨어져 죽게 됩니다 이때에는 격안관화[隔岸觀火]의 병법을 사용합니다 먹이감이 죽을때 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먹이감이 스스로 죽으면 힘들이지 않게 고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원래 산 짐승의 고기 보다 죽은 짐승의 고기를 더 선호합니다 나의 후각은 개처럼 예민하여 먼곳에 있는 죽은 고기의 냄새를 잘 맡을 수가 있습니다 미각도 발달하여 부폐 직전의 고기의 맛을 압니다 날고기 보다 부폐 직전의 고기가 맛이 더 있다는 것을../ 그래서 사냥감이 손대지 않고 죽기를 원하여 관망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될 가능성이 없을때에는 ~나는 action 을 취하는 것입니다 deployment 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전광석화]와 같이 젭싸게 1m 가 넘는 큰 날개짓으로 큰 바람을 이르키며 빠른 속도로 급강하[急降下] 하여 순식간에 먹이감을 잡아 채는 것입니다 소위 손자[孫子]가 말하는 순수견양[順手牽羊]의 수법입니다 그의 실폐가 없는 병법입니다
독수리의 먹아감 포확법[捕攫法]은 독수라가 손자의 병법[兵法]을 적용한 것이 아니라 손자[孫子]가 독수리에게서 그 병법[兵法]을 배운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어떻든지, ~독수리의 먹이 사냥법은 사람들이 배울점이 많다고 했습니다 이를테면 ~ 사냥하는 수순[手順]이 용의주도 하다고 했습니다 그 집중력이 집요하다고 했습니다 먹이를 포확하는 행동이 신속 기민[機敏]하다고 했습니다 산 동물을 함부로 잡지 않고 죽은 고기로 만족을 했다는 등... 독수리에게서 배울점이 많다고 했습니다
| |
트랙백 주소 : http://blog.cgntv.net/lib/rss/trackback.asp?ID=adoa585310 문서 주소 : http://blog.cgntv.net/document/adoa585310 |
'隨想의 窓<隨筆>'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老가 長老 自身에게 말한다 (0) | 2013.06.19 |
---|---|
*Mementomori* (0) | 2013.06.18 |
*독수리<3>* (0) | 2013.06.18 |
*독수리<2>* (0) | 2013.06.18 |
*독수리<1>* (0) | 2013.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