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ffee 단상[斷想]**
Si Yoo Chung
토요일은 늘 유유자적[悠悠自適]...조급[躁急]하지 않습니다
말하자면 Live in comfort 하는 날입니다
기년[耆年]? 의 생애[生涯]의 주기[週期]마다 찾아오는
순치[馴致]된 리듬의 한 소절[小節]과 같습니다
Calif 의 날씨는 삽상[颯爽] 온화 [溫和] 청명[淸明]그 자체입니다
3 層 Balcony 에 둥근 卓子를 당겨놓고
꽃 그늘에 앉았습니다
陽光이 四方에서 오수[午睡]처럼 밀려오는 정오[正午]입니다
county court hous 옥상[屋上]에는 흰 조각 구름이
한들바람에 느릿 느릿 흘러가고 ....콜번 스클 17 층에
게양된 星條旗가 바람에 한들거립니다
딸이 사다 준 original 名品 ?
pastel colour 손잡이가 긴 mug 잔에
진하게 coffee를 탓습니다
hot steaming 香氣에 혼합[混合]된
선연[嬋姸]한 방향[芳香]이 작열[炸裂]하는 直射 光線 아래
비말[飛沫]처럼 흩어집니다
뜨거운 coffee 를 한모금 마셨습니다
지나간 날들이 生覺났습니다
그윽한 향기 속에
꽃 잎은 한 잎 두 잎 떨어지는데.......
coffee를 즐겨 마시고 coffee 를 좋와한
有名 人士들의 日常의 behind trivia 가
생각났습니다
프랑스의 정치가 샤르르 모리스[Chares Maurice]는
coffee 를
[악마[ 惡魔]와 같이 검고 지옥[地獄]과 같이 뜨겁고 天使와 같이
순수[ 純粹]하고 사랑과 같이 감미로운....]人間 世上에서는 perfact 한
飮料라고 예찬[禮讚]했습니다
바흐[Bach johann Sebastian]는
도이취의 有名한 大作曲家로 대위법[counterpoint]
으로 더욱 그 名聲이 혁혁[赫赫]했습니다
그는 너무 coffee 를 사랑하고 즐겨 마시고 그 香에 취[醉]한
나머지 coffee 에서 영감[靈感]을 얻어 일막장[一幕場 ]歌劇인
커피 칸타타[coffee cantata]를 作曲했다고 합니다
문학자 발자크[ Balzac]는 어떻했습니까 ?
발자크는 하루 동안에 60 잔이나 마시는 coffee 中毒者 ?
였으나 coffee 를 진심으로 사랑했습니다
그 香에 취[醉]하여 수마[睡魔]와 싸우면서 .....
잠을 이기고 수 십일 씩 집필[執筆]에 전념[專念]했습니다
그의 大作 [인간 희극][La comedie humaine]에는
總 登場 人物 2000 名에다
460 名을 階級 地方 職業 性格 年齡 性別 環境..등을
다 다르게 區別하여 뚜렸이 묘사[描寫]했으며
취재[取材]의 分野도 政治 經濟 軍事 産業 宗敎 藝術 科學
法律....等 다양[多樣]하게 엮어 마치 當時 프랑스 사회의
백태만상[百態萬像]을 묘사[描寫]한 [ 風俗 硏究]와 그 원인을 탐구하는
[哲學的 硏究]와 그 원리를 표시하는 [分析的 硏究 ]로
너무나 유명 했습니다 .....
참으로 놀라운 이 생동하는 coffee 의 위력[偉力] ? 은
~ 그를 사실주의 [寫實主義]소설가의 선구자가 되게한 것입니다
coffee는 사람들에게 원기[元氣]와 긴장[緊張]과 영감을 줄 뿐 아니라
사람들의 생활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습니다
때로는 명예로운 성수[ 聖水]로 가치 있는 일상의 음료로
그리고 길흉[吉凶]을 점치는 도구로 사용 되었습니다
옛날 기원 850 년 경 에티오피아 에서는 coffee를 흥분제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coffee에는 alkaloid 성분이 함유 되어
흥분제와 이뇨제의 역할을 했기 때문입니다
전설에 의하면 칼디[Kalde]라는 羊치기가 coffee를 발견했는데
어느 야생[野生]나무의 붉은 열매를 먹은 양이
뒷 발을 차 올리며 흥분하는 것을 보고 그 열매를 시험삼아 먹어 본
결과 강한 자극을 받고
평소 설교 중에 졸려 애를 먹는 이슬람 사원 승려에게
이 사실을 전했더니
승려가 기뻐하며 coffee 에 세례를 배풀었다고 전합니다
이렇게 하여 caffeine 이 처음으로 洗禮를 받은 효시[嚆矢]가
되었으며 성수[聖水]가 되었다고 전합니다
coffee의 유래에 대해서는또 다른 비슷한 전설이 있습니다
아라비아 승려 셰이크 오마루[sheik omar]가
잘못을 저질러 아라비아의 오사바산으로 추방 되었습니다
기아로 허기저 산 속을 헤매는데 한 마리의 새가 빨강 열매를
쪼아먹고 힘차게 비상[飛翔]하는 것을 보고 그 역시 그 열매를
따 먹었는데 이 열매가 피로를 풀고 심신에 활력[活力]을
회복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그 열매를 사용하여 많은 환자들을
치료하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이 열매가 coffee 나무 였다고
합니다
옛날 터어키에서는 coffee는 아주 귀중한 물품이였습니다
결혼식 때 신랑은 신부 [단수이든 복수이든 ]에게
결코 coffee를 마시는데 부자유하게 않겠다는
서약을 했다고 합니다
프랑스나 영국 사람들은 coffee 를 기호식품으로 애용했었지만
단순한 식품이 아닌 약용으로도 사용했다고 합니다
목의 염증에서 천연두까지 모든 병에 효과가 있는 만병 통치약으로
사용했으며 때로는 엉뚱한 나쁜 방향으로도 사용했다고도 합니다
이를테면 종종 치사성[致死性]이 높은 독약에 coffee를 용해[溶解]
하여 암살[暗殺]의 도구로 사용 했었다고 합니다
coffee 나무는 꼭두서니과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수로
아라비커[arabica] 종 로보스타[robusta]종
라배리카[liberica] 등 3 종[種]이 있는데 그 중에
아라비카 종이 널리 재배 되고 있다고 합니다
coffee 는 종류에 따라 독특한 방향[芳香]과 풍미[風味]가
있으며 맛도 신맛 쓴맛 단맛이 있다고 합니다
coffee의 어원은 kaffa에서 비롯 되었는데
에티오피아어로 [힘이 솟는다]는 뜻이고
에티오피아 coffee 가 주변 국가로 전해지면서 [kahwav]
[Gahwa][Quhwa][kahne] 등 다양하게 불러졌습니다
또 kaffa 는 [식물에서 나오는 포도주]라는 뜻도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17 세기 이전에 coffee 라는 이름을 얻기 전에는
[아라비아의 와인]으로 불러졌으며 이것이 유럽으로 전해지면서
프랑스에서는 [cafe] 독일에서는 [KAffe] 스패인에서는 [kape]
이탈리아 에서는 [caffe] 그리스 에서는 [KAfes]네덜란드 에사는
[koffie]등으로 불려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coffee에 대한 최초의 기록자는
최초의 미국 유학생 유갈준으로 그의 서유견문
[西遊見問][1895년]에서 비롯 합니다
[그는 서양 사람들이 쥬스와 coffee를 숭늉과 냉수
마시듯 했다]고 적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에서 coffee 를 처음 마시고 좋와한 사람은
고종황제 입니다 을미사변 [1895 ]때 피신했던
러시아 공사관에서 처응으로 coffee 를 맛 보았다고 했습니다
이때 coffee 를 마시도록 권한 사람은 러시아 초대 공사인
웨베루[waber]의 처형인 독일 여성 안토니에트 죤타크
한국명 손택[孫澤]이 였다고 합니다
그 후 coffee는 양반가로 전파 되어 양탕[洋湯]이라는 이름으로
불러졌다고 합니다
Coffee 는 참 좋은 음료입니다
혼자 마셔도 좋고
둘이 마셔도 좋고
여러 사람이 같이 마셔도 좋습니다
방향[芳香]이 있습니다
풍미[風味]가 있습니다
오손도손 우정을 이야기하고
가정을 이야기 합니다
'隨想의 窓<隨筆>'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려일득 <千慮一得>*** (0) | 2017.01.01 |
---|---|
**나이의 아칭<雅稱>** (0) | 2016.11.15 |
Memento mori (0) | 2015.04.30 |
**길을 讓步합시다** (0) | 2014.04.08 |
* 비교는 자기를 불쾌하게 만든다* (0) | 201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