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중국 북방의 요새(要塞) 근처에
점을 잘 치는 한 노옹(老翁)이 살고 있었습니다
어느날 이 노옹의 말[馬]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났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위로했습니다
노옹은 조금도 애석한 기색 없이 태연하게 말했습니다
전화위복이란 말이 있지 않습니까 ?
과히 걱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몇 달이 지난 어느날,
그 말이 오랑캐의 준마(駿馬)를 데리고 돌아왔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이를 축하(祝賀)했습니다
노옹은 조금도 기쁜 기색도 없이 태연하게 말했습니다
"누가 압니까? 또 이 일이 무슨 화근[禍根]이 될는지?
그런데 어느날,
말타기를 좋아하는 노옹의 아들이
그 오랑캐의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
다리가 부러졌습니다
마을 사람들이 와서 또 이를 위로했습니다
노옹은 조금도 슬픈 기색이 없이 태연하게 말했습니다
"누가 압니까? 이 일이 또 변하여 복이 될는지?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어느날,
호[胡]나라 오랑캐들이 대거 성새[城塞]에 처들어왔습니다
마을 장정들은
이를 맞아 싸우다가 모두 전사(戰死)했습니다
그러나 노옹의 아들만은 절름발이었기 때문에 무사했습니다
그러므로
인간세상에서는 복[福]이 화[禍]가 되고
화[禍]가 복[福]이 되는 것으로 ~
그 변화가 무상하여 측량 할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近塞上之人 有善術者
馬無故亡而入胡
人皆弔之 其父曰
此何遽不爲福乎
居數月 其馬將胡駿
馬而歸 人皆賀之
其父曰 此何遽不爲禍乎
家富良馬 其子好騎 墮而折其
人皆弔之 其父曰
此何遽不爲福乎
居一年 胡人大入塞
丁壯者引弦而戰
近塞之人 死者十九 此獨以跛之故
父子相保
故福之爲禍
禍之爲福 化不可極 深不可測也.
주
人間萬事塞翁之馬의
人間은 사람이 아닌 세간[世間]
속세간[俗世間]
사회[社會]란 뜻입니다
이 말을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원[元]나라 중 희회기[熙晦機]입니다
그의 시에
人間萬事塞翁之馬
推枕軒中聽雨眠
세간의 모든 일은 새옹의 말[馬]과 같다
베개를 밀어
추녀의 빗소리를 들으며 잠을 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