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禧燮 牧師 등영남루 (登嶺南樓 ) (0점) | 鄭禧燮목사님[회상] chung si yoo 4932 2015. 4. 30. 22:26 鄭禧燮목사님[회상] / 백개씩보기 등영남루 (登嶺南樓 ) (0점) | 鄭禧燮목사님[회상] 2006-06-01오후 5:07:40 **登嶺南樓 ** 鄭禧燮 牧師著 <望齊集>에서 拔萃 譯 SIYOO CHUNG < 登 嶺南樓 >는 영사 < 詠史 > 구적 < 舊跡 >의 詩입니다 ~ 陳子昻( 661-702 初唐의 시인)의 詩가 생각납니다 <登幽州臺> 등유주대 前不見古人 後不見來者 念天地之悠悠 獨愴然而涕下 前에 古人을 보지 못 하였습니다 後에 오는 자(來者)도 보지 못 하였습니다 천지의 유유함을 생각하고 있노라면 홀로 창연 하여 집니다 그래서 눈물을 흘립니다. 작자는 누대(樓臺)에올라 사방을 바라보며 천지의 유구함과 인생의 무상함을 느꼈습니다 지금을 생각하고 옛날을 생각했을 뿐 아니라 영원을 생각하며, 생명의 유한성을 슬퍼하여 혼자 한없이 울었습니다 <등 영남루; 登嶺南樓>도 세월의 빠름과 자연의 유구함과 인생 무상의 情을 담고 있습니다. 영남루에 올라서 옛부터 이름난 정절의 고장 영남루에 오르니 산은 비단옷 자락이요 강은 한줄기 휘어진 옷깃이라 흰 구름 따라 굽이마다 물은 잔잔이 흐르고 강나루 건너 즐비한 마을엔 은은한 종소리 ~멀리서 들려오고 휘영청 달빛은 그림자 긴 숲 사이로 길게 드리웠네 장지 창 밖에는 부슬비 내리고 아링의 원혼은 피투성이 엉컬어진 머리카락 인채 밤 마다 억울함을 눈물로 호소하네 왁자지껄 하던 나그네도 가는길 바빠 수레 세우고 길을 묻는데...... 위하여 묻노라 고금의 역사를 그 누가 알랐으리 無常한 변화를 .... 영남루 마루 아래 無心한 세월만 石花 같이 흘러 가네 原文 登 嶺南樓 此地偉名永급初 江山秀麗好衿거 鐘聲遠問千家密 月色長臨萬樹疎 寃魂夜訴窓前雨 騷객왈尋路上車 爲問滄桑今古史 誰知樓下石花餘 망제집 (望齊集)에서 정 시유 역 저작자표시 비영리 변경금지 (새창열림)